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묘장구대다라니경 사경, 원문

by 포츈텔러 탄리 2025. 4. 28.

    목차

신묘장구대다라니경
신묘장구대다라니경

1. 신묘장구대다라니경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는 천수경의 핵심 주문으로, 관세음보살의 자비와 지혜, 그리고 삼보(불·법·승)에 귀의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사경(寫經)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한글 원문을 아래에 제공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한글 원문)

나모 라 다나 다라 야야
나막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발로기로 가라야
사바라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 위의 원문은 실제 사경용으로 널리 쓰이는 표준 한글 음역본입니다. 사찰, 불서, 불교 사이트 등에서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참고사항

  •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산스크리트어(범어) 진언을 한글로 음역한 것으로, 뜻을 해석하지 않고 그대로 외우거나 옮겨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사경할 때는 경건한 마음으로 한 글자씩 정성스럽게 써 내려가는 것이 좋으며, 사경 후에는 독송하거나 발원하는 것이 전통적인 수행법입니다.

3. 구절독음해석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Namo Ratna Trayaaya 삼보(불·법·승)에 귀의합니다.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Namah Arya Avalokiteshvaraaya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합니다.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니가야 Maha Sattvaya Maha Karunikaaya 위대한 보살이시며, 대자대비하신 분께 귀의합니다.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Om Sarva Bhayeshu Trana Karaya Tasmay 모든 두려움에서 구해주시는 분께 귀의합니다.
나막 가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Namah Karitava Imam Arya Avalokiteshvara Tathagata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의 위신력을 찬탄합니다.
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Nilakantha Namah Hridaya Mahabala Isami 청경관음보살님의 진언을 암송하겠습니다.
살발타 사다남 수반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Sarvarttha Sadhanam Subhan Ayam Sarva Bhutanam Bhava Marga Vishuddhakam 일체의 이익을 성취하시고, 모든 중생들을 청정한 길로 인도하시는 분이시여.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Tadyatha Om Aloke Aloka Matir Lokatikrante He He Hare 광명의 지혜로 세상을 초월하신 분이시여, 오소서.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Maha Bodhisattva Smara Smara Hridaya 위대한 보살이시여, 마음속에 기억해 주소서.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다린나례 새바라 Kuru Kuru Karma Sadhaya Sadhaya Dhuru Dhuru Vijaya Maha Vijaya Dara Dara Dharinare Svaha 선한 업을 짓게 하시고, 승리하게 하시며, 지켜주소서.
자라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Jara Jara Mala Vimala Amala Mukte Ehi Ehi 번뇌의 때를 없애시고, 청정한 모습으로 오소서.
로계 새바라 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베 사미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Loke Svabhava Raga Visham Vinashaya Dvesha Visham Vinashaya Moha Jala Visham Vinashaya 탐욕, 성냄, 어리석음의 독을 소멸시켜 주옵소서.
호로호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 나바 Huru Huru Mala Huru Hare Padma Naba 더러운 독을 거두어 가시고, 연꽃의 마음을 가지신 분이시여.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자못자 모다야 모다야 Sara Sara Shiri Shiri Soro Soro Buddha Buddha Bodhaya Bodhaya 감로수가 흐르게 하시고, 깨닫게 하소서.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Maitriya Nilakantha Kamasa Darsanam Prarthaya Manaka Svaha 자비심 깊으신 청경관음보살님이시여, 욕망을 파하신 분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싯다야 사바하 Siddhaya Svaha 성취하신 분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마하싯다야 사바하 Maha Siddhaya Svaha 위대한 성취를 하신 분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싯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Siddha Yogeshvaraaya Svaha 요가를 성취하신 자재보살님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니라간타야 사바하 Nilakanthaaya Svaha 청경관음보살님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바라하 목카싱하 목카야 사바하 Varaha Mukha Simha Mukhaaya Svaha 멧돼지 얼굴, 사자 얼굴을 하신 관세음보살님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Padma Hastaya Svaha 연꽃을 손에 잡으신 관음보살님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Chakra Yuktaya Svaha 큰 바퀴를 지니신 관음보살님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상카섭나네 모다나야 사바하 Shankha Shabdane Bodhanaya Svaha 법 소라 나팔 소리로 깨달음을 주시는 관세음보살님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마하라 구타다라야 사바하 Maha Rakuta Dharaya Svaha 위대한 금강저를 지니신 관음보살님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바마사간타 니사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Vama Skandha Nishasthita Krishna Jinaya Svaha 왼쪽 어깨에 흑색의 승리자이신 관음보살님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먀가라 잘마 이바사나야 사바하 Vyaghra Charma Nivasanaya Svaha 호랑이 가죽 위에 머무르시는 관음보살님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 (3번) Namo Ratna Trayaaya Namah Arya Avalokiteshvaraaya Svaha (3번) 삼보에 귀의합니다.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합니다. (3번 반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