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3

신묘장구대다라니경 사경, 원문 1. 신묘장구대다라니경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는 천수경의 핵심 주문으로, 관세음보살의 자비와 지혜, 그리고 삼보(불·법·승)에 귀의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사경(寫經)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한글 원문을 아래에 제공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한글 원문)나모 라 다나 다라 야야나막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마하 가로니가야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다사명 나막 까리다바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마발다 이사미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살바보다남 바바말아미수다감 다냐타옴 아발로기로 가라야사바라야마하 사다바야마하 가로니가야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다사명 나막 까리다바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마발다 이사미살발타 사다남 수반.. 2025. 4. 28.
부처님오신날 추천 다큐 – 차마고도: 천상의 길 KBS 다큐멘터리 6부작 부처님오신날 추천 다큐 – 차마고도: 천상의 길KBS 다큐멘터리 6부작 완전 가이드부처님오신날, 마음의 순례를 위한 특별한 선택부처님오신날이 다가오면 자연스럽게 마음을 돌아보고, 조용한 사색과 휴식을 찾게 됩니다.특히 올해는 연휴가 길어, 불교의 가르침과 순례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기고 싶은 분들이 많을 텐데요.이럴 때 깊은 울림을 주는 다큐멘터리 한 편이 내면의 평화와 사색을 선물해줄 수 있습니다.KBS의 6부작 다큐멘터리 〈차마고도: 천상의 길〉은 불교문화, 인간의 삶, 자연과의 공존을 차분하게 담아내며부처님오신날의 의미를 더욱 깊게 느끼게 해줍니다.1. 부처님오신날, 차마고도를 추천하는 이유불교의 길, 차마고도차마고도(茶馬古道)는 중국 운남성과 사천성에서 시작해티베트 고원을 넘어 네팔, 인도 북부까지.. 2025. 4. 23.
불상 속 손의 비밀 - 수인(手印)의 의미와 종류 불상 속 손의 비밀 - 수인(手印)의 의미와 종류“왜 어떤 불상은 손을 붙이고 있고, 어떤 불상은 땅을 가리키고 있을까?”사찰을 찾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가져보는 질문입니다.불교의 불상은 단순한 조각상이 아니라, 그 손 모양 하나하나에도 깊은 의미와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불교 조각의 상징 언어인 ‘수인(手印)’을 중심으로, 불상 속 손의 비밀을 풀어보겠습니다. 1. 수인이란 무엇인가: 불교의 ‘손 모양 언어’● 수인의 정의‘수인(手印)’이란 부처님이나 보살이 수행하거나 설법하실 때 취한 손 모양을 뜻합니다.이는 부처님의 경지와 의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상징이며, 수행의 목적, 보호, 설법, 자비 등의 뜻을 담고 있죠.힌두교에서 유래된 이 ‘무드라(mudrā)’ 문화는 불교와 융합되.. 2025. 4. 22.
나한 신앙의 깊이와 현대적 의미 ― 아라한에서 나한, 그리고 오늘의 우리에게 나한 신앙의 깊이와 현대적 의미 ― 아라한에서 나한, 그리고 오늘의 우리에게1. 아라한과 나한의 본래 의미아라한(阿羅漢, Arhat)은 불교에서 모든 번뇌를 끊고 해탈에 이른 존재로, 수행자의 궁극적 목표를 상징합니다.산스크리트어 Arhat는 ‘공양받을 만한 자’, ‘적을 이긴 자’라는 뜻을 지니며, 여기서의 ‘적’은 탐욕·분노·어리석음 등 내면의 번뇌를 의미합니다.아라한은 더 이상 새로운 번뇌에 휘둘리지 않으며, 생사의 고리를 끊고 완전한 자유와 평화의 경지에 이른 자로 여겨집니다.🔹 아라한은 왜 성불하지 않았는가?초기불교(테라와다)에서는 아라한이 해탈한 완전한 존재로 여겨지며, 붓다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한 자로 봅니다.하지만 대승불교에서는 아라한을 “자기만 해탈한 존재”로 보며,.. 2025. 4. 21.
신묘장구대다라니 - 관세음보살의 자비가 담긴 불가사의한 진언 신묘장구대다라니 - 관세음보살의 자비가 담긴 불가사의한 진언 지난 시간 관세음보살신앙과 천수경에 대해 얘기해봤습니다. 천수경의 핵심인 신묘장구대다라니을 놓치고 지나갈 수 없어 이번 시간에서 자세히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1. 신묘장구대다라니란 무엇인가요?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는 “신묘한 글귀를 모은 위대한 주문”이라는 뜻을 지닌 불교의 진언입니다.이 주문은 관세음보살의 자비와 지혜, 그리고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하고자 하는 깊은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산스크리트어로 시작되는 이 다라니는 약 84구의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짧지만 한 편의 경전처럼 여겨지는 주문입니다.‘신묘(神妙)’란 단어는 단순히 ‘기묘하다’는 의미를 넘어서, 세속의 언어로는 설명할 수 없는 깊은 영적 힘과 신성함을 내포합니다... 2025. 4. 18.
관세음보살 신앙과 천수경 - 한국불교의 자비와 기도의 정수 관세음보살 신앙과 천수경 - 한국불교의 자비와 기도의 정수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우리는 그 속에서 매일 수많은 선택과 불안, 고통을 마주합니다. 그럴 때 마음을 다잡을 수 있는 단단한 중심이 있다면 얼마나 든든할까요? 한국불교에서 관세음보살 신앙은 바로 그런 버팀목이 되어주었습니다.관세음보살은 “세상의 소리를 관찰하고 그 고통을 대신 짊어지는” 존재로, 수천 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아픔을 어루만져 왔습니다. 힘든 상황에서 그 이름을 부르거나 진언을 염송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평화를 찾았다는 체험담은, 단순한 신앙의 영역을 넘어 하나의 정신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신앙의 정수는 한 권의 경전에 고스란히 담겨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바로 천수경(千手經)입니다. 자비의 손(千手)과 지혜.. 2025. 4. 18.